게임

넥슨 인기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 여름방학 기념 2020년 8월 보스직업 TOP 6 직업 추천 히어로 편

머니 라이프 2020. 8. 16. 22:22
반응형

안녕하십니까 발 빠른 입니다 이번엔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넥슨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보스 콘텐츠 특화 직업군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메이플 스토리 로고

 

 

 

 

 

 

TOP 3

히어로

 

 

 

 

자체공속,부스터사용 5등급~3등급 한손무기
6등급~4등급 두손무기
유틸 무적,슈스탠,돌진,윗점프,끌격이동기,버프무시,버프해제,버프불능,공격반사
코어강화 난이도 매우쉬움
직업스펙 크확:25(~55)% 크뎀:인레이지20% 방무:50%
데미지:(+15)%
최종뎀:242(~468.875)%
육성난이도 어려움
운용 난이도 쉬움
유효 어빌리티 크리티컬 확률 증가, 공격속도 1단계 보스몬스터 공격데미지

 

 

 

장점.

 

1. 강력한 솔로 보스 플레잉 성능

 

1:1 상황에서 화력을 대폭 끌어올리며 크리티컬 공격 피해량을 늘려주는 인레이지와

상태 이상에 걸린 몬스터에게 더 큰 피해를 주는 찬스 어택 등의 버프로 단일 보스 상대로

강력한 딜링 능력을 뽑아내고.

 

5차 주력기 스킬인 소드 오브 버닝 소울과 캄보 인스팅트 30 레벨

기준으로 각각 75초 30초라는 긴 지속시간을 가지고 있는 만큼 평타 능력도 출중한 화력을 보이며

지속 딜링 상위권 안에 들어가는 능력치를 가지고 있으며 10초 이상 긴 극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극딜 능력이 더욱 빛을 보이며.

 

스킬 연계로 순간 화력을 끌어올려 10초 딜링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또한 5차 주력 스킬인 캄보 데스 폴트라는 무적 시간 1.6초에 즉발 무적 기를 사용하며

재사용 대기 시간이 무려 20초 박에 안 되는 최상급 무적 기를 보유하여 빠르게 패턴을 회피하며

효율적으로 딜을 넣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주며 이동 유틸이 부족한 히어로에게 생존력을 

부여해준다.

 

2. 간단한 조작 난이도

 

초창기 직업군인만큼 조작 난이도가 단순하며 고유 스킬인 캄보 어택은 온/오프 스킬이라

한번 죽지 않으면 꺼지지 않고 유지가 가능하며 평상시에 사용하는 자력 버프들 또한

3가지뿐이라 펫 자동 버프 스킬로 커버가 가능하고 사냥 주력기와 보스기가 따로 분리되어있지

않아 어떠한 상황에서도 4차 주력기인 레이징 블로우만 사용하다 가끔 주력기 강화 스킬이나

상태 이상 스킬만 걸어주면 되는 간단한 구조의 딜사이클을 이루고 있으며 즉발성 최상위

무적 기를 보유하여 실수하더라도 커버가 가능한 상황이 많이 나온다.

 

3. 전 직업 최고의 최종 대미지 증가량

 

히어로의 강력한 딜링 능력은 전 직업 최상위권의 최종 대미지 증가량에서

나온다. 기본적으로 웨폰 마스터리, 어드밴스트 캄보를 통해 무려

최종 대미지 142%를 상시 유지가 가능하며 보스전에서는 인레이 지를 사용하여

상시 203%를 유지 가능하고 5차 스킬인 캄보 인스팅트와 어드 밴스트 캄보로 증가하는

수치를 합하면 순간적이나마 최대 235% 유지 가능하며 오라 웨폰, 찬스 어택 등의 조건을 달성하면

이론상 최종 대미지 능력치 표기로만 무려 400% 이상을 뽑아낼 수 있다.

 

 

4. 낮은 스킬 코어 강화 난이도

 

강화 코어 종류가 10가지라 유효 코어를 얻을 확률이 높은 편이며

사냥 주력기와 보스 주력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레이징 블로우 파이널 어택, 레이지 업라이징만 필수도

나머지는 선택할 수 있다.

 

단점.

 

1. 느린 공격 속도와 스킬의 긴 선후 딜레이

 

두 손 무기가 착용 가능한 직업군은 거의 필수적으로 두 손 무기를 채용해야만 효율이 좋기 때문에

두 손 무기 착용이 반강제적으로 강요되지만 두 손 무기를 착용한 경우 히어로의 경우 공격 속도가 6등급이 되기 때문에

자력 버프로도 4등급까지 늘린다 하더라고 최고의 효율을 뽑아내는 풀 공속에 도달하려면 2등급을 올려야 하는데

도핑이나 어빌리티 등의 외보 수단으로 풀 공속을 도달시켜야 한다.

 

또한 스킬 딜레이 또한 체감이 될 정도로

경직이 심하며 디버프 기를 써야 할 경우 패닉과 인사이지 들의 스킬들만 봐도 1초 가까이 걸릴 정도로 눈에 보이는

경직 때문에 난해한 패턴의 보스를 사용할 때 타이밍을 잘재서 신중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이번에

신 5차 스킬인 소드 오브 버닝 소울도 사용 및 설치에 후딜 레이가 있어 상당히 까다로우며 주력기인

레이징 블로우조차 뻣뻣해 보이는 경직 모션이 존재한다

 

2. 높은 육성 난이도

 

히어로는 예전부터 육성 난이도가 힘들다고 소문이난 직업이었지만 최근 여러 개선안이

지속적으로 받아들여지지만 여전히 200 레벨 이전의 육성 난이도는 매우 힘들다 육성 난이도가 어려운 이유는

매우 높은 5차 스킬의 의존도가 있으며 그때 전까진 매우 비루한 레이징 블로우로 사냥을 해야 하는데

스킬 범위가 매우 좁고 히어로의 이동 점프 조차 전 직업 최하위권의 기동성을 보여주기 때문에 사냥이 매우 매우 힘들다

이 또한 모험가 전사 웟점프 개선안으로 조금 고쳐지긴 했지만 여전히 육성 난도는 높은 편이다.

 

3. 매우 낮은 크리티컬 관련 능력치

 

기본 크리티컬 확률이 전 직업 최약의 수치인 25%로 찬스 어택으로 20% 올라가는 것 밖에 없으며

크리티컬 대미지도 인레이지 활성화로 얻기 때문에 사냥에서는 사실상 크리티컬 대미지는 0%이다

때문에 200 레벨 이전의 육성 중에 매우 낮은 크리티컬 수치로 인해 원킬 컷 요구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하이퍼 스탯이나 어빌리티에서 크리티컬 확률을 억지로 라도 필수로 맞춰야 한다.

히어로는 매우 높은 최종 대미지가 있기에 역 보정을

건 것이지만 수치가 매우 낮다.

 

4. 주력기=단일기 이로 인한 다수 보스전에서의 불리함

 

보스전에 임하기 앞서 최종 대미지와 크리티컬 대미지를 비약적으로 상승시켜주는 인레이 지는

보스전에 있어서 히어로의 최대의 힘이지만 주력기의 타깃수가 단일기로

줄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단일 보스에서는 히어로 특유의 높은 화력을 보이지만

드림 브레이커와 최상위 보스를 포함한 몇몇 보스에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시그너스의 경우

신수나 기사단을 처리하기 위해서 인레이 지를 것 다 켯다를 반복해야 하며 자쿰의 경우

팔 활성화가 되면 팔부터 때리며 2초마다 자폭 로봇이 튀어나오는 스우 1페이지

루시드의 소환수들 등등 하위 보스나 상위 보스의 잡몹 처리의 애를 먹으며 설상가상

인레이 지를 해제하면 딜레이가 증가되고 공격 범위가 줄어들며 딜량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함부로 끌 수도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5. 5차 주력기 극딜 스킬들의 주기 문제

 

버프형 주력기 강화 스킬인 극딜기 캄보 인스팅트는 재사용 대기시간이 매우 길다

히어로의 극딜 버프인 캄보 인스팅트는 재사용 대시긴이 무려 소드 오브 버닝 소울의 2배이며

소드 오브 버닝 소울을 2 번써야 캄보 인스팅트 1번 쓰는 꼴인데 상위권  DPS를 자랑하는 순간 극딜 직업군

들의 경우 120~180초 주기로 극딜 주기를 삼는 것에 비해 히어로의 극딜 사이클 주기는 240초이다. 

극딜기의 지속시간이 30초라 40초 극딜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장점이지만 카벨이나 더스크, 진힐라 등 

딜 타임 나지 않아 지속 딜이 비효율적인 상위 보스들은 바인드 10초 동안의 극딜을 욱여넣어야 하는

극딜 메타가 현재 메이플의 메타이기 때문에 30초에 걸쳐 넣는 비효율적인 구조로 극딜보다는 지속 딜에 초점을

둘 수밖에 없는 히어로는 일루전-데플-인팅 연계로 5초간 스텟 공격력을 뻥튀기시켜 10초 극딜 화력 자체는

좋은 편이지만 20초간 딜 누수가 발생하며 딜로스가 상당하며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극딜 주기가

맞지 않아 하자가 있는 사이클로 딜을 넣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현재 보스 메타에서는 무시 못할

딜 누수 즉 낮은 실전 딜 효율이 발생하므로 구조적인 조정이 필요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메이플 스토리 보스 직업 추천 TOP6 중 3인 히어로를 중심적으로 포스팅

해보았습니다. 이번 캐릭터 선정은 어느 정도 자본을 맞추어 육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포스팅입니다 무자본 직업추천의 경우 추후 포스팅을 통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도 포스팅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