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트 오브 풀문,Night of Full Moon 게임소개
개발사 | Giant Network |
플랫폼 | 윈도우,안드로이드,IOS |
ESD | 스팀.앱스토어,아이폰스토어 |
장르 | 로그라이크,TCG |
심의 등급 | 7세 이용가 |
한국어 지원 | 지원 |
안녕하십니까 IT, 게임 소식을 전해드리는 발 빠른 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게임은 나이트 오브 풀문이라는 턴제 카드 로그라이크 게임인데요.
크게 게임 소개와, 게임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게임 설명.
모바일 및 PC 트레이딩 카드 게임인 장르의 로그라이크 게임입니다.
게임 스토리는 기본적으로 빨간 망토의 스토리를 기본으로 하는데요.
빨간 망토는 할머니와 함께 작은 집에서 오순도순 살고 있었는데,
어느 보름달이 뜬 날 갑작스레 할머니가 실종되고 조사 끝에 할머니가
어두운 숲(Dark Forest)에 들어갔음을 알게 되고 할머니를 찾기 위해
직접 Dark Forest에 들어가게 된다.라는 게임 스토리입니다.
게임 시스템.
게임을 시작하시면 먼저 플레이할 캐릭터(직업)를 고르게 됩니다.
처음에는 노말 모드로 플레이하게 되는데요 노말 모드에서는 적과 전투 후 간혹 대화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대화 이벤트에서는 선택지가 나오는데요 선택지에 따라 용기, 평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용기가 4.8 이상이면 최대 체력이 증가하고 평판이 4.8 이상이면 골드 보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스테이터스에 따라 최종 보스가 변화하는데 최종 보스는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용기가 평판보다 높으면 Werewolf 용기보다 평판이 높으면 Witch
두 보스를 처치하면 Priest, Werewolf와 Witch를 물리쳤고 용기와 평판이 모두 4 이상이면
Mystery Men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Mystery Men을 1회 이상 처치할 시 하드 모드가 열립니다.
하드 모드는 1~7까지 존재하며 역 보정이 존재합니다.
기본.
-
체력: 빨간색 바 HP바이며 0이 되면 게임 오버가 됩니다.
-
액션: 모래시계 모양의 아이콘 액션 카드를 사용하기 위한 코스트입니다. 기본적으로는 내 턴이 끝날 때마다 액션 코스트의 상한치로 회복되며 카드의 능력 등으로 상한치보다 높은 액션을 가지고 있을 땐 초기화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됩니다
-
마나: 파란색 바. 마법(Spell) 카드를 사용하기 위한 코스트입니다. 카드의 왼쪽 상단의 숫자가 마나 코스트. 버프로 올릴 수 있으며, 최대한도는 없이 무제한으로 축적 가능합니다
-
경험치: 노란색 바. 적을 물리치면 해당 적의 레벨만큼의 경험치를 얻을 수 있으며, 각 챕터의 보스급 (빨간색 이름) 적을 물리치면 대량의 경험치를 얻을 수 있다. 마녀의 사과 등으로 경험치를 얻거나 잃을 수 있다. 단, 사과로 경험치가 깎여 0보다 낮아질 경우엔 0까지만 내려가며 레벨엔 변화가 없습니다.
-
골드: 금화 아이콘. 카드를 구입/승급/제거하거나 버프를 얻을 때 사용하는 자원입니다
게임 진행 중에 좌측 하단의 비전투 스킬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스킬은 직업마다 다릅니다 모든 스킬은 한번 사용하면 전투 n번 진행 후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전투 스킬은 1 레벨부터 지니고 있고, 전투 스킬은 3,5 레벨에 획득합니다.
메인 화면에서 시계 모양을 누르면 특성을 배분할 수 있습니다. 이 특성은 새로운 보스를 물리칠 때마다 획득하는 별 모양 자원으로 찍을 수 있으며, 부여한 특성은 새로운 게임에서 적용됩니다. 필요 자원이 적어 5~6번 정도 클리어하면 전부 찍을 수 있으며 모두 찍을 시 장비 슬롯 하나가 오픈됩니다.
용어.
-
Hand: 현재 화면에 나와있는 (사용할 수 있는) 카드. 레벨과 난이도 등에 따라 핸드의 크기가 달라진다. 턴 중에는 무제한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나 턴 종료 시에는 최대 핸드 크기를 넘는 카드는 버려야 한다.
-
Deck: 아직 뽑지 않은 카드. 전투 중에 우측 하단을 눌러보면 확인할 수 있다. 새 턴이 시작하면 지니고(전투 중에 얻은 카드 포함) 있는 모든 카드가(소멸되거나 핸드에 있는 것을 제외한) 덱으로 돌아온다. 도미니언처럼 덱의 카드를 다 썼다고 쓴 카드를 덱에 다시 섞어주지는 않는다. 따라서, 코스트 사용 카드가 많지 않음에도 무턱대고 드로잉 카드만을 골라 무한 덱을 만드는 짓은 불가능하다.
-
Equipment slot: 전투 전에 미리 장비 카드를 Equipment slot 수만큼 장착하고 시작할 수 있다. 장착할 장비는 덱 보기에서 편집 가능하다. 기본은 0이며 특성을 찍어 슬롯 하나를 추가할 수 있다.
-
Piercing: 관통 효과. Armor나 일부 대미지 감소 버프를 무시하고 체력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
-
Absorb: 흡수 효과. 관통 대미지와 비슷하나 적의 최대 체력을 흡수해서 이번 전투 동안 자신의 최대 체력을 올릴 수 있다.
-
Armor: 일종의 실드와 같은 것. 체력과 마찬가지로 취급되며, 'Piercing' 공격은 아머를 무시한다. 아머에 입는 피해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 일부 특수효과들이 발동되지 않는다.
-
Dodge: 회피, 공격을 무시한다. 적중 시 효과 등도 같이 무시된다.
-
Immune: 절대적인 대미지 면역. 상태 이상이나 관통 등으로도 대미지를 입히지 못한다.
-
Own: 전투 이전에 소유하고 있는 카드 + 지금 덱에 있는 카드이다. 즉 해당 전투에서 사용하여 소멸된 카드도 소유 중인 카드로, 덱에 들어있는 임시카드로 own 상태로 취급한다.
-
Exiled: 소멸. 한번 사용하면 그 전투가 끝날 때까지 해당 카드가 덱에서 제외된다.
-
Temporary: 임시 카드. 소멸과 마찬가지로 한번 사용하면 사라지며, 임시 카드는 카드 이름에 * 가 붙어있다.
-
Negate: 적이 다음에 사용하는 카드를 무효화시킨다. 카드는 무덤으로 들어가고 마나나 액션 등의 코스트도 사용되지 않는다.
-
Double Effect: 카드를 사용할 때 카드가 2회(+1회) 사용되는 효과를 낸다. 코스트는 늘어나지 않으며 이 효과가 중첩되면 카드 한 장이 3,4 회의 효과를 내기도 한다. 사용 이펙트도 n회 나타난다.
-
Recycle(x): 약재사의 소멸 카드에 붙어있는 특수효과로, 사용 시 x가 줄어들면서 핸드로 돌아온다.
-
Poisoned: 중독 효과. 턴이 시작할 때 중독 수치만큼의 대미지를 받는다. 중독 발동 시 수치가 1 줄어든다.
-
Burned: 화상 효과. 카드를 사용할 때 화상 수치만큼의 대미지를 받는다. 효과 발동 시 2씩 줄어들고, 턴 종료 시 사라진다.
-
Chilled: 동상 효과. 적에게 가하는 대미지가 동상 수치만큼 줄어든다. 효과 발동 시 2씩 줄어들고, 턴 종료 시 사라진다.
-
Stuck: 속박 효과. 수치에 따른 확률로 적이 사용하는 카드가 무효화되게 한다. 효과 발동 시 2씩 줄어들고, 턴 종료 시 사라진다.
-
Weakness: 적에게 가하는 물리 대미지가 50% 줄어든다. 턴 종료 시 사라진다.
-
Bleeding: 적에게 물리 대미지를 받으면 대미지 1을 더 받고 출혈이 1 줄어든다.
-
Frailty: Frailty(연약함) 수치만큼 모든 공격에 추가 대미지를 받는다. 턴 종료 시 사라진다.
-
Confession: 수녀 전용 효과. 자신의 턴이 끝날 때 Confession (참회) 수치만큼의 관통 대미지를 준다.
-
Potion: 약제사의 직업 카드인 포션 카드들을 말한다. 카드 이름에 Potion이 들어간 모든 카드.
-
Potent: 약제사의 직업 카드인 포션 카드의 효과를 강화시킨다. Potent 수치만큼 포션 카드의 모든 효과에 보정이 붙는다.
-
Side effect: 독, 화상, 동상, 속박을 말한다.
-
Rage: 늑대인간 전용 효과. 내 턴이 끝날 때마다 현재 Rage 수치만큼 적에게 관통 피해를 입힌다. 기본 최대치는 2이고, 늑대인간의 카드를 이용해 수치를 올리거나 최대치를 올릴 수 있다. 최대치 이상으로 Rage를 쌓을 경우 초과된 수치 1당 최대치만큼의 관통 피해를 한번 가한다.
-
Siphon: 소울 헌터 전용 효과. 적의 마나를 카드에 나온 수치만큼 흡수한다. 만약 상대방의 남은 마나가 카드의 수치보다 적을 경우, 초과된 양만큼 체력을 빼앗아온다. Absorb와 비슷하지만 이쪽은 최대 체력 대신 그냥 체력만 흡수한다.
-
Judgement: 소울 헌터 전용 효과. 저지먼트를 올리는 카드의 효과에 따라 올라가며, 10의 배수가 될 때마다 수치만큼 관통 피해를 연타식으로 주는 Death comes 카드를 내 덱에 섞어 넣는다.
전투.
전투 전에 Deck에서 미리 장착한 (Equip slot 수만큼 미리 장비를 장착할 수 있다) 장비를 가지고 시작합니다.
또한 보유한 축복(스킬) 중 전투에 해당되는 축복들이 하단에 추가 들입니다
기본적으로는 플레이어가 선공이지만 선공하는 특성을 가진 몬스터도 존재합니다.
전투 밖에서 확인 가능한 핸드 사이즈(우측 하단, 오른쪽) 만큼의 카드를 드로우합니다.
턴 종료 시에 카드를 남길 수 있으나, Maximum Hand Size 이상의 패는 가지고 있을 수 없어 버려야 합니다.
보통은 드로우하는 카드 수와 동일합니다. 턴이 끝나기 전에는 무제한으로 카드를 들고 있을 수 있습니다.
전투 중엔 오른쪽 하단에 있는 덱 버튼을 눌러서 현재 덱에 남은 카드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한 카드는 무덤으로 이동되고, 이때 Exile(소멸) 카드는 사용하면 덱으로 돌아가지 않고
이번 전투 동안 덱에서 제외됩니다. 또한 카드 이름에 *이 붙은 temporary(임시) 카드들 또한
일회용으로 사용하면 무덤으로 돌아가지 않고 그대로 소멸합니다. 무덤으로 돌아간 카드는
내 턴 종료 시 내 덱으로 다시 돌아와 무작위로 섞입니다.
다른 카드게임과의 차이점이라면 덱이 비어있는 상태에서만 무덤에 있는 카드를 다시 섞어 넣는 것이 아니고,
턴 종료 시 무조건 무덤에 있는 카드를 덱에 섞어 넣기 때문에 한 번에 덱의 모든 카드를 뽑지 않는 이상
운이 없으면 일부 카드를 전투가 끝날 때까지 뽑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확정 드로우 카드와 서치 카드의 밸류가 높은 편이며 한번 사용하면 장착되어 덱으로 돌아가지 않는
장비카드의 채용률이 높습니다.
카드는 총 9종이 존재하나 Special 은 상점 전용이므로 실제로 덱을 만드는 카드는 8종입니다.
-
Attack 카드는 코스트가 없는 카드들로 특수한 조건이 있거나 디버프, 몬스터 효과를 받고 있지 않는 이상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대미지를 주는 카드가 많다.
-
Action 카드는 모래시계 모양의 액션 코스트를 소비한다. 액션 코스트는 매 턴 기본적으로 1이 제공되지만 카드나 축복, 장비 등으로 최대 액션을 증가시키거나 추가 액션을 얻을 수 있다. 대부분 드로우, 서치 등의 카드가 속해있다.
-
Equipment 카드는 사용하면 하단에 추가되며 축복처럼 지속적으로 효과를 제공한다. 다른 게임의 파워 카드와 유사하나 적이 빼앗거나 파괴할 수도 있다. 다르게 얘기하면, 적의 장비 또한 특수한 카드를 이용해 빼앗거나 파괴할 수도 있다.
-
Spell 카드는 마나 코스트를 소비한다. 마나 코스트는 액션 코스트와 달리 자동으로 회복되지 않는다. 대신 Mana 카드로 회복하거나 장비나 축복 등으로 기본량을 증가시키거나 추가 마나를 얻을 수 있다.
-
Mana 카드는 마나를 회복하게 해 준다. 그 외에 특수 효과(드로우, 힐, 딜 등)가 붙어있기도 한다.
-
Counter 카드는 사용하면 일시적으로 장착되며, 해당 카운터 카드의 조건(적이 특수 종류의 카드를 사용, 카드를 n장 이상 사용 등)을 만족하면 발동되어 적의 카드 사용을 취소하거나 반격, 디버프를 거는 등의 효과를 낸다.
-
Prayer 카드는 Nun(수녀)의 직업 카드로, 즉시 효과를 내는 게 아니라 1~5 턴 후에 효과가 발동된다. 턴 시작 시 카운트.
-
Prank 카드는 사용할 수 없는 카드로 덱을 방해하는 일종의 저주 카드이다. 턴 종료 시 자동으로 무덤으로 간다.
액션 수치는 Base Action 보다 적을 경우 매 턴 회복된다. Mana는 기본적으로는 회복되지 않습니다.
전투 중에는 좌측 하단의 스킬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직업마다 다르며 전투 단위의 쿨타임( 2 전투에 한번 등)을 지니고 있습니다.
전투에서 체력이 다하면 패배하고 메인화면에서 Continue 하여 해당 전투 이전으로 돌아가 다시 할 수 있습니다.
사망 시 게임당 3번까지 광고를 보고 어드벤티지를 얻을 수 있는데
3번째는 축복을 준다. 카드의 드로우는 다시 시작할 때마다 변경됩니다.